5분 자유발언(정인숙 의원, 제329회 제1차 본회의)_대구혁신도시 발전 방안에 관한 제언 동구의회 2023-06-29 조회수 493 |
5분 자유발언(정인숙 의원, 제329회 제1차 본회의)_대구혁신도시 발전 방안에 관한 제언
안녕하십니까 ! 안심3·4·혁신동 지역구 기획행정위원회 정인숙 의원입니다. 먼저 5분 발언의 기회를 주신 김재문 의장님과 동료 의원님들께 감사드리며, 윤석준 구청장님을 비롯한 공직자 여러분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대구혁신도시는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연구개발특구가 포함되어 전국 10곳의 혁신도시 중에서도 성공적인 모델이라는 평가와 함께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2015년 12월 개정된 혁신도시법은 혁신도시 내 부지 양도가격을 영구적으로 제한하고 있어, 기업의 경영권 및 재산권의 과도한 침해라는 논란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또 대구혁신도시는 혁신도시 구역 내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연구개발특구가 겹쳐서 발생하는 이중 규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대구 동구을 강대식 국회의원은 부동산 양도제한 규정을 완화하고 중복 입주승인 규정을 개선하는 혁신도시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 해, 대구혁신도시를 비롯한 전국 10개의 혁신도시가 직면한 정체 위기를 극복하고 각종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대구시 이재숙 의원은 지난해 11월,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혁신도시 내 복합혁신센터 도서관을 혁신도시의 지식서비스 전문기관으로 만들 것과 시설의 공공성에 초점을 맞춰 안정적으로 운영할 것을 주문하는 등, 혁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오늘 본 의원은 대구혁신도시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합니다. 먼저, 대구혁신도시를 대표하고 알리는 도시 상징 조형물을 세우는 것입니다. 현재 대구혁신도시 서편의 율암IC, 동편의 안심IC, 그리고 동대구 IC를 통해 혁신도시 중심부까지 들어가 보면 그 어느 곳에서도 혁신도시임을 알리는 상징물을 찾아볼 수가 없어, 그곳이 혁신도시인지 아닌지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대구 혁신도시를 제외한 주요 혁신도시들은 일찌감치 지역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도시 상징물을 만들었습니다. 예컨대,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는 영산강 물결을 형상화한 틀에 나주시와 16개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의 로고들을 새긴 상징물을 설치해 ‘화합과 공존’이라는 도시의 목표가치를 드러냈고, 울산의 우정혁신도시는 ‘민들레 홀씨’ 모양의 상징물을 조성함으로써 혁신도시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표현했습니다. 현재 대구혁신도시는 도시의 사회적․경제적 위상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뚜렷한 상징물이 없는 실정입니다. 대구혁신도시 고유의 이미지를 잘 표현하고, 11개 이전공공기관의 특성이 잘 담겨있으면서도 시각적 관점에서 도시 경관과 잘 어우러지는 대표 상징물이 필요합니다. 이에 본 의원은 현재 동구 괴전동 545-11번지 일대에 상징물을 설치할 것을 제안합니다. 안심역 인근의 해당 부지는 연간 200만 명 이상의 유동인구가 왕래하는 곳으로, 주변을 오가는 사람들과 혁신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잘 노출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입니다. 다음으로, 신서중앙공원 내 위치한 혁신도시 고향관을 개선할 것을 제안합니다. 2017년 준공된 고향관은 혁신도시 조성으로 사라진 자연 부락의 옛 생활모습을 엿볼 수 있는 생활용품, 사진농기구 등이 전시되어 옛 추억과 마을의 역사를 만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또 고향관은 주말나들이, 현장학습 및 답사 등으로 외부 방문객이 많은 곳입니다. 그러나 고향관이 조성된 후, 시간이 흐르면서 현재 고향관의 건물 외벽과 야외 전시물이 다소 노후화된 상태입니다. 옛 주민들과 혁신도시 방문객들에게 혁신도시 고유의 이미지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향관 외관을 깨끗하게 보수하고, 전시물의 주기적인 정비가 필요합니다. 「혁신도시법」제29조에는 이전공공기관의 지역에 대한 공헌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구혁신도시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형물 설치, 고향관 개선 등 혁신도시의 발전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대구시와 동구청, 그리고 이전공공기관 모두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입니다.
존경하는 동구 주민 여러분 ! 대구혁신도시가 조성된 지 10년이 다 되어 갑니다. 지역 안팎에서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대구혁신도시가 정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혁신도시의 발전을 위해 뜻을 모아주시기를 당부 드리면서, 5분 자유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번호 | 제 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
280 | 5분 자유발언(김영화 의원, 제330회 제2차 본회의)_외식산업, 「동구의 새로운 성장 동력」 | 동구의회 | 2023-09-21 | 605 |
279 | 5분 자유발언(김은옥 의원, 제330회 제2차 본회의)_동구 현안 해결 방안 모색 | 동구의회 | 2023-09-21 | 558 |
278 | 5분 자유발언(김상호 의원, 제330회 제2차 본회의)_노후 경로당 환경 및 시설 개선 관련 | 동구의회 | 2023-09-21 | 812 |
277 | 5분 자유발언(안평훈 의원, 제330회 제2차 본회의)_동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꿈드림)공간 확충과 시설개선에 관한 제언 | 동구의회 | 2023-09-21 | 871 |
276 | 5분 자유발언(김동규 의원, 제330회 제1차 본회의)_돈지봉공원 조성의 필요성 제언 | 동구의회 | 2023-09-18 | 609 |
275 | 5분 자유발언(김은옥 의원, 제330회 제1차 본회의)_동구 교육 현안 해결 방안 모색 | 동구의회 | 2023-09-18 | 625 |
274 | 5분 자유발언(한동기 의원, 제330회 제1차 본회의)_청소년 마약 예방대책 관련 제언 | 동구의회 | 2023-09-18 | 534 |
273 | 5분 자유발언(박종봉 의원, 제330회 제1차 본회의)_동구 유소년 야구 인재들의 역외유출 방지를 위한 관내 중·고등학교 야구부 창단 | 동구의회 | 2023-09-18 | 454 |
272 | 5분 자유발언(김상호 의원, 제330회 제1차 본회의)_전통 윷놀이 경로당 보급 관련 | 동구의회 | 2023-09-18 | 486 |
271 | 5분 자유발언(김동규 의원, 제329회 제2차 본회의)_예비군 훈련 차량 지원에 관한 제언 | 동구의회 | 2023-06-29 | 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