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신뢰와 화합, 찾아가는 의회 바른의정·소통협치·민생중심

홈 > 회의록검색 > 구정질문/답변

구정서면질문(배홍연 의원_2025. 3. 7.)_아양교SOS생명의전화설치관련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URL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구정질문/답변

의원별검색
의원별검색
대수구분
대수구분
             
* 필수사항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구정서면질문(배홍연 의원_2025. 3. 7.)_아양교SOS생명의전화설치관련 동구의회 2025-03-14 조회수 66

질문요지

아양교 ‘SOS 생명의 전화설치 관련 계획

 

답변내용

1. 아양교 교량 내 자살예방을 위한 사업현황

자살예방 조형물 설치 및 자살예방 상담번호 안내

- 현재 교량 출입구(아양로288 교차로 방면)에 자살예방 조형물 슬픔은 나누고 마음은 더하고가 설치되어 있으며 24시간

  이용가능한 정신건강상담번호(1577-0199)와 자살예방상담번호(109)를 표기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

동구 CCTV관제센터 투신방지시스템 운영

- 교량 투신 시도가 있을 시 동구CCTV관제센터에서 운영 중인 CCTV 및 적외선감지기를 통해 즉각적인 경찰·소방 출동이 이루어

  지며, 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정신건강전문요원이 동행하여 투신시도자의 정신건강상태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고위험군 사후관리

- 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자살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투신시도자에 대해 지속개입(심리상담·사례관리 등)하여 자살시도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아양교 ‘SOS 생명의 전화설치 관련 계획

 ‘SOS 생명의 전화는 교량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해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 설치·지원한 사업으로 2024년 이후 지원 종료되어,

      ‘생명의 전화 설치비용 7,500만원정도(4)와 매년 유지·보수비용 300만원정도가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현재 동구CCTV관제센터의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자살예방법>에 따라 자살시도자의 정보가 정신건강

      복지센터로 연계되어 관리되고 있다는 점, 기존 설치·운영 중인 타 지자체(부산 구포대교) 생명의 전화운영실적이 연간 10건 미만인

      점 등을 고려하였을 때 투입예산 대비 운영의 효율성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따라서, ’생명의 전화설치·유지를 위해서는 설치비용과 운영의 효율을 고려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므로 즉시 조치가 어려운

      사안임을 알려드립니다. 추후 구정 현황에 따라 의원님의 제안을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